로고

 

더 알아보기☞

상품 기본 정보
약력

1988. 12. 29

24회 서울올림픽 기증장 수여

1990. 05. 29

16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판소리명창부 대통령상 수상

1993. 12. 27

KBS 국악대상 수상

1998. 11. 13

금복문화상 수상

1999. 04. 30

상주 고향을 빛낸 사람들 공로패 수여

1999. 10. 20

19회 문화의날 기념 대구광역시 문화상 수상

2003. 12. 14

1회 대한민국 청소년대상 판소리부문 대상 수상

2004. 11. 20

3회 세계문화예술대상 판소리부문 대상 수상

2013. 11. 06

판소리계 최고권위상 제23회 동리대상 수상

1986 ~ 현재

1~ 30회 청소년판소리강습회 개최

1994 ~ 현재

1~ 22회 달구벌 전국청소년 국악경연대회 주관

1999 ~ 현재

1~ 17회 영호남교류 남도민요발표회

2008 ~ 현재

1~ 8회 상주국악제 전국국악경연대회 주관

2008 ~ 현재

1~ 8회 대구전국민요경창대회 주관

2016. 05. 31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제전

2019. 03. 15

작고

 

유래와 특색

 

판소리

판소리는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으며, 각 지역별로 지방문화제가 있으며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세계무형유산걸작'으로 선정되어 세계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판소리는 조선 중기 이후 남도지방 특유의 곡조를 토대로 발달한, 광대 한 명이 고수(鼓手) 한 명의 장단에 맞추어 일정한 내용을 육성과 몸짓을 곁들여 창극조(唱劇調)로 두서너 시간에 걸쳐 부르는 민속예술형태의 한 갈래이다.

남도의 향토적인 선율을 토대로 진양조 ・ 중모리 ・ 중중모리 ・ 자진모리 ・ 휘모리 ・ 엇모리 ・ 엇중모리 등 일곱 가지 장단에 따라 변화시키고, 또 아니리()와 발림(몸짓)으로 극적인 효과를 높이는데, 이 때의 대사만을 가리켜 극가(劇歌)라고 한다. 판소리의 발생기는 여러 평민문화가 발흥하기 시작한 조선 숙종 무렵으로 <춘향가>, <심청가>, <흥부가(박타령)>, <토별가(수궁가 : 토끼타령)>, <적벽가>, <장끼타령> <변강쇠타령 : 가루지기타령>, <무숙이타령>, <배비장타령>, <강릉매화타령>, <숙영낭자전(가짜신선타령)>, <옹고집타령> 등 무당의 12굿처럼 12마당으로 이루어졌다.

연행과정

 

 

시연회 시연곡목

 

1. 흥보가중 - 흥보제비 강남 들어가는 대목 _ 하태우 - 전수장학생

2. 흥보가중 - 셋째박 타는 대목 _ 임연수, 백채린 - 전수장학생

3. 흥보가중 - 놀보 심술 대목 _ 서한결 - 이수자

4. 흥보가중 - 화초장 대목 _ 홍준표 - 이수자

5. 흥보가중 - 돈타령 대목 _ 김신영 - 이수자

6. 흥보가중 - 흥보 형님께 비는 대목 _ 윤정애 - 이수자

7. 흥보가중 - 흥보마누라 탄식 대목 _ 유현자 - 이수자

8. 흥보가중 - 둘째박 타는 대목 _ 유현자 - 이수자

9. 흥보가중 - 박타는 대목 _ 이명희 - 예능보유자, 정정미 - 전수교육조교

고수 : 오정석 - 전수장학생

고수 : 성정모 - 전수교육조교

 

전수교육조교 및 장학생


전수교육조교 성정모

전수교육 조교 정정미

 


 전수장학생 최송이

  전수장학생 하태우

  전수장학생 오정석

 전수장학생 박은채

전수장학생 김민희

전수장학생 최지원

 전수장학생 옥나영
 

 

판소리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22길 102 2층(봉덕동)
053-625-3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