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더 알아보기☞

상품 기본 정보
약력

1991

대한민국 명장 선정

1994

중요무형문화재 제55호 이수자 인정

1995

대한민국 전통기능전승자 선정

1996

대구시 시지정 무형문화재 제10호 인정

2006

한국폴리텍 Ⅵ대학 명예교수 선정

2014

국가무형문화재 제55호 보유자 인정

1991

대통령 표창장 수훈

2001

대통령 산업포장 수훈

2007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표창장 수훈

1998~2007

합천 해인사 팔만대장경 경판 및 판가 보수

1998~2001

상주 수암종택 유물 보수

1997~2007

국립상주대학교 박물관 유물 보수

2001~2003

예천 용문사 대장전 윤장대 및 수미단 보수

2003

영천 백흥암 극락전 수미단 부분 보수 세인공방 약력

1978

세명공예사 창업

1982

세인목공예사 상호 개명

1992

세인공방 상호 개명

유래와 특색

 

소목장은 목재로 세간들을 만드는 기능보유자이다. 장롱, , 함 등을 비롯하여 문방구 등의 세간들과 각종 목물(木物), 가마, 수레, 농기구등 도구류들을 포함하며 건축을 주로 하는 대목(大木)에 대칭되는 용어이다. 소목장이란 명칭은 고려 때부터 나타나며 소목장의 기능은 목구(木具)의 제작과 건축의 소목 일을 포괄하고 있다.
 

소목가구는 대체로 원목을 사용하여 목재가 지닌 나무결을 그대로 살려서 자연미를 추구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그러므로 소목가구는 전통가구의 형태와 규격, 기법, 문양을 근거로 제작된다.

따라서 전통한옥의 주거생활에 적합한 평좌식(平座式) 가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방의 종류에 따라 안방가구(장롱, 의거리장, 삼층장, 단층장, 경대, 혼수함)와 사랑방가구(사방탁자, 문갑, 서장등), 그리고 주방가구(찬장, 뒤주, 소반, 함지박)등으로 분류되며, 특히 불교가구(경상, 법상, 경탁, 불좌대 등)나 경판, 현판, 등의 제작역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연행과정

    

 

소목의 역사
 

고대에는 목수를 재인(梓人재장(梓匠윤여(輪輿)라 했는데, 이는 수레에서 생긴 중국식 명칭이다. 신라에서는 재장이 속해 있는 관서를 마전(磨典)이라 했고, 대목에 해당하는 목척(木尺)은 별도의 전읍서(典邑署)에 속하였다. 소목장이라는 명칭은 고려 때부터 나타나며 조각장·나전장과 더불어 중상서(中尙署)에 예속되어 있었다.
 

조선시대의 ≪경국대전≫에서는 일괄하여 목장(木匠)이라 하였는데, 그 대신 세분화한 수레장[車匠]·선장(船匠통장(桶匠표통장(表筒匠마조장(磨造匠풍물장(風物匠안자장(鞍子匠목소장(木梳匠목영장(木櫻匠)을 따로 두었음이 경공장의 전문 직종으로 명시되어 있다.

목장 중 소목에 대해서는 ≪고려사≫에 나오고 조선 초 세조 때의 기록에도 보이므로 대목과는 구분하였던 것 같다. 소목장의 기능은 목가구의 제작과 건축상의 소목 일을 포괄하고 있다. 조선 초기까지는 목가구가 주로 왕실과 상류계층을 위해서 제작되었으나, 조선 후기에는 민간에 널리 보급되고 종류도 주위의 생활환경에 따라 다양해져서 지역적인 특성이 현저히 나타나게 되었다.
 

더구나 지방에서는 목수를 불러서 필요한 기물을 제작하는 자급자족 형태였고, 지금처럼 기계화로 인한 대량 생산이 불가능한 수작업 형태의 제작이기 때문에 우리 나라의 목가구는 일정한 규격품을 찾아보기 어렵다.

조선시대에 왕실이나 상류계층의 가구는 옻칠과 밀다회(密陀繪자개·대모 등 좋은 치레방법이 구사되었고, 십장생·운학·용문··만자·아자 등을 정교하게 조각하여 장식성이 강조되고 귀족적인 품위를 나타낸 것도 있지만 서민사회는 제약이 많았다. 특히 검소함을 중요시 하는 유교 문화로 인해 선비들이 사랑방의 주류인 문방구의 과다한 겉치레를 기피하는 풍조로 말미암아 나무 자체의 재질을 살리려는 생각이 뚜렷하게 격조를 이루어내어 유교적 덕목에 걸맞게 화려하고 복잡한 것보다 단순하고 안정된 분위기에 적합하도록 수평과 수직이 강조된 장방형의 형태와 단순한 구조, 쾌적한 비례, 간결한 선과 면을 지닌 목가구가 제작되었다.

남도(南道)가구가 문목(紋木)을 귀하게 여기는 점이라든지, 문목판의 가장자리에다 회장(回裝)기법으로 뇌문(雷文)을 돌리는 섬세한 솜씨도 모두 그에 연유한다.

 

 

전수관(전수생 교육)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대승지길 71-11 (호남리)
011-9580-4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