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더 알아보기☞

상품 기본 정보
약력

1947

이원석 선생님 전수

1988

사물북(로프쐐기북) 최초 고안 & 제작

1992

달구벌 축제, 대고 기증

1992

국악기 합동전시회(대구시민회관)

1993

6회 국악기 전시회(약령시장)

1994

중국 연변대학원 국악기 기증

1994

7회 국악기 전시회(대구시민회관)

1994

()한국문화단체 총연합회 주최 전시회

(구미문화예술회관)

1998

대구광역시 예총주최 중국 상해 전시회

1999

일본 히로시마 자매결연 대고 기증

2000

일본 센다이시 전시회, 일본 센다이시

교육대학교 구악기 기증

2001

국악기 개인전시회(대구시민회관)

2008

덕수궁 중요무형문화재 작품 전시

2009~2009

부천 세계무형문화재 엑스포 참가(전시)

2016~2019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제전

 

 

유래와 특색

 

대고장

동국여지승람에는 상고시대 제천의식의 연행과정의 하나로 종고잡희 하였다는 기록이 보이고 부여(扶餘)에서도 천신에게 제사를 지낼 때, 가무로서 즐기던 행사를 영고(迎鼓)라 하였다.

예로부터 북은 오랫동안 우리민족의 삶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잡아 멋과 흥을 일구어낸 한국의 대표적인 타악기로 손꼽힌다. 때로는 지상의 모든 축생들을 제도하고 마군을 물리치는 종교적인 의미가 함축되어 있거니와 군영에서 병사들을 통솔할 때도 당당히 그 위력을 발휘하였을 것이다. 그런가 하면 낙랑공주와 호동왕자의 비련이 담긴 지명고에 얽힌 애틋한 사연도 인간의 솜씨를 초월한 신기의 북과 연관된다. 조선시대에는 백성들의 억울함을 호소하던 신문고도 역사적 측면에서 되새겨봄직하다.

북은 팔음(八音)악기 중 혁()부에 속하는 악기로 분류된다. 그러나 북을 만드는 재료보다는 그 재료를 이용하여 명기(名器)로 생명력을 불어넣기까지 참으로 어려운 작업이 뒤따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행과정


북통 제작과정

             

 

1. 원목제재
원목을 판재(9~14cm)두꼐로 제재하여 1차 건조(수개월) 한다.

2. 북통 "쪽" 제재
건조된 판재를 북통 크기에 따라 재단하여 "쪽"으로 제재한다. 2차적으로 건조 ・ 보관하여 사용한다.

3. 살(각도) 잡기
북통 크기에 맞게 각도기를 만들고 각도기에 맞춰 살(각도)을 잡는다.

4. 통세우기
살(각도)을 잡은 "쪽"을 풀을 넣고 통을 세운다. (풀넣기)

5. 통가공
풀이 건조되면 깎고 사포질하여 마무리하고 통을 완성시킨다.

6. 통의 완성
완성된 통을 용도에 맞게 칠을 하거나 배접하여 단청을 한다.

 

전수교육조교 및 장학생


전수교육조교 김기웅

전수교육조교 권태숙

 


대고장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로 96-31(태전동)

053-312-2850

010-2507-8805

016-518-2850